:그림2: 다른 뉴스레터 더보기
<aside>
</aside>
<aside>
운전실의 경보음이 울립니다. “Reactor Temperature High – 73℃”
순식간에 모니터 속 온도 바가 붉게 변하고, 냉각밸브가 최대 개도 상태로 열립니다. 하지만 온도는 좀처럼 내려가지 않습니다.
조금만 늦으면 압력 급상승, 반응 폭주(runaway), 긴급 배출(valve vent) 이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순간, 운전자는 교과서가 아닌 ‘경험’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냉각재의 반응 속도, 불활성 가스의 희석 효과, 교반기의 속도 변화가 어떻게 반응기 내부에 영향을 주는지 — 이를 몸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대응은 늦습니다.
OTS(Operator Training Simulator)의 Batch Reactor Simulation은 이런 실제 플랜트의 긴박한 상황을 가상 반응기에서 그대로 재현합니다.
온도·압력·조성·밸브 응답 등 모든 변수가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운전자는 반응기 제어의 ‘감(感)’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이론 학습 도구가 아니라,
“만약 현장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면?”을 실제로 경험하게 하는 실감형 운전·제어 훈련 시스템입니다.

</aside>
<aside>

SPM-2000 배치 반응기 시뮬레이션은 두 가지 기체 반응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은 에틸렌(Ethylene, 반응물 A) 과 벤젠(Benzene, 반응물 B) 을 반응시켜 에틸벤젠(Ethylbenzene, 생성물 C) 을 생산하는 발열(Exothermic) 반응입니다.
에틸벤젠은 스티렌 모노머 생산의 핵심 중간체로 사용됩니다.
생성된 생성물 C는 반응기 후단에서 증류 공정(Distillation) 을 거쳐 정제되며, 불활성가스는 분리 후 연료가스로 재활용됩니다.
반응물 B 역시 회수·정제되어 반응기로 재투입됩니다. (정제 공정은 시뮬레이션 범위 외)
</aside>
<aside>
OTS 시뮬레이션에는 다양한 예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Startup, Shutdown, EmergencyShutdown등)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운전 중 Feed 온도가 떨어졌을 때의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예제를 소개하고자합니다.
이 예제는 “Feed 온도가 떨어졌을 때 반응이 얼마나 느려지는가”를 경험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운전자는 교반기, 반응기 온도 제어, 냉각 및 가열밸브 조작 등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며, 공정의 응답 변화를 관찰합니다.
| 항목 | 내용 |
|---|---|
| Objective | 반응 시간 증가의 원인 인식 |
| Time | 약 30분 |
| Cause | 상류 가열로(fired heater)의 연료 품질 저하로 인한 반응물 온도 저하 |
| Effect | 반응 완료까지 소요 시간 증가 |
| Solution | 반응 시간을 늘려 보상 |
이 일련의 절차를 통해 운전자는 반응온도의 미세한 변화가 반응속도, 체류시간, 생성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tep | 주요 조작 | 시간 (hh:mm:ss) |
|---|---|---|
| 1 | 교반기 시동 스위치 HS-123 RUN 위치로 전환 | 00:00:02 |
| 2 | 교반 속도 설정 (SIC-123 = 500 RPM) | 00:00:05 |
| 4 | 반응물 B 밸브 HV-102 개방 | 00:00:08 |
| 5 | 반응물 B 제어밸브 출력 100% | 00:00:11 |
| 8 | 냉각수 밸브 HV-104 개방 | 00:00:17 |
| 9 | 반응기 온도 설정 (TIC-123 = 20℃) | 00:00:19 |
| 14 | 반응물 A 밸브 HV-101 개방 | 00:01:37 |
| 18 | 반응물 A 공급 종료 | 00:03:49 |
| 22 | 제품 저장 밸브 HV-103 개방 | 00:20:14 |
| 26 | 교반기 정지, 속도 0 RPM | 00:20:28 |
| 30~33 | 냉각·가열·재킷 밸브 순차적 종료 및 상태 확인 | 00:30:14~00:30:44 |
| </aside> |
<aside>
</aside>
:그림2: 다른 뉴스레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