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2: 다른 뉴스레터 더보기


<aside>

“캐스케이드 제어(Cascade Control) : 외란에 강한 스마트 제어 전략”

</aside>


<aside>

복잡한 플랜트 현장에선 단순한 제어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외란(pressure, flow fluctuation 등)이 빈번한 환경에서는 제어 루프 하나만으로는 공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반복됩니다.

바로 이런 순간, ‘캐스케이드 제어’가 진가를 발휘합니다.

두 개의 제어 루프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더 빠르고 더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오늘 뉴스레터에서는 캐스케이드 제어의 핵심을 살펴보겠습니다.

image.png

</aside>


🔵 캐스케이드 제어란?


🔵 공정 제어 용어

용어 영문 명칭 (약어) 정의 예시
제어변수 Controlled Variable (CV) 특정한 밸브에 의해 조절되어야 하는 변수 온도, 제품 순도, Level, 압력 등
조작변수 Manipulated Variable (MV) 제어변수(CV)를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조작되는 변수 연료 및 스팀 유량, Reflux, Reboiler 유량, Vent 유량 등
설정값 Setpoint (SP, SV, SPT 등) 제어변수(CV)가 도달해야 하는 목표값 200°C, 90% 순도 등
제어기 출력 Controller Output (CO, OP, MV 등) 제어기에서 최종제어요소로 전달되는 신호 밸브 개도 50%
공정변수 Process Variable (PV, MEAS 등)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된 제어변수(CV)의 실제 값(측정값) 실시간 온도 185°C 등
최종제어요소 Final Control Element (FCE) 제어기의 출력을 받아 실제 조작을 수행하는 장치 컨트롤 밸브, 댐퍼, VSD 펌프 등

<aside>

🔵 열교환기 출구 온도 제어 사례

열교환기 출구 온도는 냉매인 글리콜의 유량을 조정하여 제어

image.png

image.png


🔹 단일 루프 출구 온도 제어(TIC)

글리콜 냉각 밸브를 조정하여 열교환기 출구 온도를 유지

image.png


🔹 Cascade 제어

출구 온도의 제어를 위해 유량을 제어

image.png


🔵 캐스케이드 제어의 장점

</aside>


<aside>

</aside>


<aside>

</aside>


✅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