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2: 다른 뉴스레터 더보기


<aside>

“공정 알람, 기준이 있는가? 알람 관리 3대 국제 표준 정리”

</aside>


<aside>

image.png

공정 현장에서 알람은 "눈과 귀"와 같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거나, 반응할 필요가 없는 알람까지 쏟아지면 오히려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알람 관리 체계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알람 관련 3대 국제 표준인 ISA-18.2, EEMUA 191, IEC 62682를 알아보겠습니다.

</aside>


✅ ISA-18.2 – 미국계 알람 시스템 관리 표준

🔹 배경

2000년대 초, 공정 사고(Ex. Texas BP Refinery Explosion, 2005) 이후, 알람 시스템이 안전 기능(SIS)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제정됨.


🔹 핵심 구조: 알람 수명주기(Alarm Lifecycle)

ISA-18.2는 알람을 단발 이벤트가 아닌 하나의 생명주기로 봅니다.

  1. 철학서 개발 (Philosophy)
  2. 식별 및 설계 (Identification & Specification)
  3. 합리화 (Rationalization)
  4. 설정 및 구현 (Design & Implementation)
  5. 운영 (Operation)
  6. 유지보수 (Maintenance)
  7. 평가 및 개선 (Audit & Management of Change)

✅ EEMUA 191 – 영국계 실용 지침서

🔹 배경

1990년대 후반, 영국 화학 플랜트에서 다수의 알람 관련 사고가 발생하며, 실무 중심의 가이드 필요성 대두 → EEMUA(영국 산업자동화협회) 주도 작성


🔹 주요 내용



📊 비교 요약

| --- | --- | --- | --- |


공정 알람(Process Alarm)은 단순한 경고가 아닌, 안전 확보와 운영 신뢰성, 효율성의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석유화학 및 발전 플랜트와 같은 연속 공정 산업에서는 알람 과부하(Alarm Flooding), 무시된 알람(Suppression), 설정 오류가 심각한 사고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알람 정책이 필수적입니다.